• 2025. 9. 29.

    by. 정보의 방

    최근 서울시가 2031년까지 총 31만 가구를 공급하는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한강벨트(강남·서초·송파·용산·마포·성동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약 19만8천 가구, 전체의 63.8%가 공급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이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서울 한강벨트 대규모 재개발!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 꿀정보

     

    1. 공급 물량 한눈에 보기

    구분 공급 가구 수 비율
    전체 31만 가구 100%
    한강벨트 19만8천 가구 63.8%
    기타 지역 11만2천 가구 36.2%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 – 한강벨트 집중

     

    2. 한강벨트가 왜 주목받을까?

    이번 공급 계획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한강벨트 집중 공급입니다. 강남·서초·송파는 대규모 재건축과 정비사업이 활발한 지역이고, 용산은 국제업무지구 개발과 GTX·지하철 교통망 확충이 진행 중입니다.

     

    마포·성동은 한강변 신흥 주거지로 강북과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 주거 수요가 계속 늘고 있는 곳입니다.

     

    지역 특징
    강남·서초·송파 재건축·정비사업 활발, 교통·교육 인프라 우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GTX·지하철 교통망 확충
    마포·성동 한강변 신흥 주거지, 강북·도심 접근성 우수

     

     

    3. 핵심 포인트

    •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2.0(신통기획 시즌2)’으로 정비사업 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한다고 밝혔습니다.

     

    • 소규모 정비사업·리모델링 등을 포함해 최대 39만 가구 이상까지도 공급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 2035년까지는 준공 목표를 37.7만 가구로 설정했습니다.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 – 한강벨트 집중

     

    4. Q&A

    • Q. 31만 가구 공급은 어디서부터 시작되나요?
      A. 한강벨트 주요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착공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Q. 한강벨트에 공급이 집중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주거·교통·업무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 정비사업 추진이 빠르고 수요도 높기 때문입니다.

     

     

    • Q. 일반 시민도 이 공급 계획에서 분양을 받을 수 있나요?
      A. 공공주택·민간분양·재건축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므로 분양 자격과 일정은 개별 사업 발표 시 확인해야 합니다.

     

    • Q. 언제부터 실제 입주가 가능해질까요?
      A. 착공 후 준공까지 수년이 걸리므로 일부 구역은 2030년대 초반부터 순차적으로 입주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 – 한강벨트 집중

     

    서울 도심과 주요 지역에 대규모로 공급되는 만큼, 향후 분양·재개발·재건축 시장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공급 예정 지역과 시기를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한강벨트는 서울 핵심 입지로 평가되므로 향후 발표될 구체적인 사업 일정과 분양 공고를 함께 확인해두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