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철이나 무더운 여름, 냉방보다 ‘제습 모드’가 전기세를 아낄 수 있다는 말, 믿어도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에어컨 제습 전기세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1. 제습 모드 전기세, 냉방보다 낮을까?
- 실제로 제습 모드는 실외기를 반복 작동시키는 방식이라 냉방과 소비전력이 거의 동일하거나 오히려 더 많이 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실측:
- 냉방 24도 5시간 → 1.782kWh
- 제습 24도 5시간 → 1.878kWh (더 높음)
2. 전기세 계산 예시
벽걸이형 에어컨 소비전력 700W 기준
모드 시간 소비전력 한 달 전기요금(120원/kWh 가정) 제습 하루 10시간 0.7kWh × 30일 = 21kWh 25,200원 냉방 하루 10시간 0.7kWh × 30일 = 21kWh 25,200원 3. 왜 제습도 전기세가 비슷할까?
- 제습은 내부 온도 조절보다는 습도 조절이 주목적이지만, 실외기를 반복적으로 작동해 냉방과 유사한 전력 소모가 발생합니다.
- 내부 팬(송풍)이 지속적으로 돌아가며 소비 전력이 발생합니다.
- 특히 인버터 에어컨이 아닌 경우 더 많은 전기 소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전기세 절약을 위한 꿀팁 💡
- 인버터 에어컨은 켜둔 채 유지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 온도는 26~27도로 설정하세요. 외부 온도 대비 6도 이상 낮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써큘레이터나 선풍기 병행 사용으로 체감 온도 낮추기
- 필터 청소, 실외기 그늘막 설치 등 정기 관리도 전기세 절약에 효과적입니다.
5. 제습 모드는 전기세 절약에 효과적일까?
구분 내용 전기세 절약 X 제습 모드만으로는 냉방 대비 큰 차이 없음 추천 사용법 인버터 에어컨 + 적정 온도 + 써큘레이터 병행 전기세 절감 요소 제습보단 사용 습관 및 환경 개선이 더 중요 6. Q&A 자주 묻는 질문
- Q. 제습 모드가 냉방보다 전기세가 덜 나오나요?
→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많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 Q. 전기세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제습보다는 인버터 에어컨 유지 + 온도 조절 + 공기 순환이 핵심입니다.
“에어컨 제습 전기세”는 냉방과 비슷하거나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 전기세를 줄이려면 제습보다는 에어컨 관리, 사용법, 환경 개선이 더욱 중요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 신청부터 사용처까지 완벽 가이드 (0) 2025.07.20 2025 최신 트렌드! 에어컨 전기세 절약 모드 활용법 (0) 2025.07.20 오늘의 핫한 뉴스 TOP 10 (0) 2025.07.12 2025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주요 경기 일정 (0) 2025.07.08 2025 근로자 안심대출, 자격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0) 2025.07.04 여름철 빨래 냄새 없애는 법과 꿀템 추천! (0) 2025.07.01 냉감이불 추천 TOP 5 – 여름철 꿀잠템 총정리! (0) 2025.06.16 서울마라톤 2026 놓쳤다면? 다음 기회를 위한 마라톤 준비 가이드 (1) 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