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매년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바로 자동차세입니다. 차종, 배기량, 차량 등록일 등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계산해 두면 예산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자동차세 산정 방식과 자동차세 계산기 활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1. 자동차세 개요
- 납부 시기: 매년 6월, 12월 (연납 신청 시 1월)
- 산정 기준: 배기량(cc)·차종·차령(차량 연식)
- 세율: 배기량 1cc당 일정 금액 (승용차 기준)
- 특징: 경차, 전기차 등은 세금이 감면되거나 면제 혜택이 있음
2. 자동차세 계산기 사용법
- 지방세 사이트 접속
정부24 또는 위택스(www.wetax.go.kr)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활용합니다. - 차량 정보 입력
차종, 배기량, 연식 등을 입력하면 예상 세액이 자동 계산됩니다. - 연납 여부 선택
1월에 연납 신청 시 약 9.1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계산 시 알아두면 좋은 팁
- 연납 할인: 1월에 1년치 세금을 미리 납부하면 약 9% 할인
- 경차 혜택: 1000cc 이하 경차는 세금이 저렴하고 환경개선부담금도 없음
- 전기차 감면: 친환경차는 지방세 감면 혜택으로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4. Q&A
Q1. 자동차세는 할부 납부가 가능한가요?
A. 원칙적으로는 6월·12월 두 차례 납부이나, 카드사 무이자 할부 이벤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Q2. 중고차 구매 시 세금은 누가 내나요?
A. 차량 이전 등록일 기준으로 소유자가 납부 의무를 집니다.Q3. 전기차는 자동차세가 없나요?
A. 기본세율은 있으나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 감면 혜택을 주어 사실상 부담이 거의 없습니다.자동차세는 차량 유지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입니다. 미리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금액을 확인하고, 연납 할인이나 친환경차 감면 제도를 잘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차량 관리법, 안전한 운전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0) 2025.09.19 한강버스 뜬다, 9월 18일 본격 첫 출항 - 수상교통 새 역사 (0) 2025.09.17 2026 대구마라톤 일정·접수·코스 총정리 (0) 2025.09.16 2025 추석지원금, 신청 방법부터 민생지원금과의 차이 총정리 (0) 2025.09.14 육아기 10시 출근제,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돕는 제도 (0) 2025.09.09 2026년 도입 예정! 대중교통 정액패스 완전 정리 (0) 2025.09.03 한국 육상의 미래, 나마디 조엘 진 선수 (0) 2025.08.31 아반떼AD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방법 (CR2032) 5분 완성 (2) 2025.08.25